
신경전달물질
신경전달물질 : 도파민
신경전달물질 : 노르아드레날린
노르 아드레날린은 노르 에피네프린의 다른 이름으로,
도파민의 형제 분자라고도 할 수 있는 최강의 각성제 신경 전달물질이다.
무슨 일과 맞서서 분투하려 할 때에는 뇌뿐만이 아니라 전신의 교감신경에서도 분비된다.
두 사람이 대결하는 운동시합을 한다든지 아니면 일상 생활 속에서도 기합을 넣어서 무엇을 하려고 할 때에는 체내에 노르아드레날린이 활발하게 분비되고 있는 것이다.
누구나가 경험하는 일로 분노를 느낄때에는
'분노의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노르아드레날린이 급격하게 분비되어
혈액이 뇌에 집중되기 때문에 안면이 창백하게 되는 것이다.
노르아드레날린은 사람의 하루의 활동 사이클과도 관계되어 있다.
즉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에 의하여 잠에서 깨어나서 활동을 하며,
그 분비가 감소되면 잠을 자게 되는 것이다.
도파민이 인간의 정신활동의 원천이 되는 것임에 비하여
노르아드레날린은 생명력, 정신력, 운동력의 바탕이 되는 것이다.
노르아드레날린은 맹독성 물질이다.
이 이상의 독성이 있는 물질이라면 뱀이나 복어의 독등으로 손으로 셀 수 있는 몇 종류에 불과하다.
모르핀이나 코카인 같은 것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생명력의 원천은 맹독 물질이 가져다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노르아드레날린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신경전달물질도 맹독성을 가졌다고 할 만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맹독이기 때문에 비상시에 인간의 뇌와 신경에 작용하여 급격한 활동에 대처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효과가 좋은 의약품의 대다수가 동시에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노르아드레날린(노르에피네프린)은 청반(Locus ceruleus)이라는 뇌간의 작은 핵에 있고, 배측속(dorsal bundle)이라는 신경로가 뇌의 거의 모든 상위영역으로 투사된다. 소뇌, 시상하부, 시상, 대뇌피질, 해마, 중격, 기저핵, 편도체등으로 직접 연결한다. 흥분이나 각성의 기본 수준을 결정하며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
The Brain Of Human Homepage Is All Reserved By Design J Co.Ltd.
뇌는 여러 가지 화확물질을 분비하고 있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얼굴이 홍당무가 되는 것도 뇌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의 영향 때문이다. 이 때 분비되는 물질은 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물질이다.
노르아드레날린은 분노하는 호르몬(이것도 모르겠지?? 그냥 일종의 물질이라고 생각하자)이라는 물질이다. 어떤 이유로 인해 감정이 격하게 되었을 때 분비되기 때문이다. 분노하는 호르몬이라고 하면 나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이 노르아드레날린이 우리 몸에서 감소하면 의욕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노르아드레날린은 의욕의 근본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중요한 물질인 셈이다.
우리들의 뇌에 노르아드레날린이 증가하면 심장이 빨라뛰고 목안이 마르는 등 좋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혈압이 높아지고 뇌로 들어가는 피의 양이 늘어난다. 이렇게 해서 에너지를 상당히 많이 얻게 된 뇌는 틀림없이 그활동이 활발해진다. 이같이 상태가 나쁜 결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지만 때로는 이같은 상태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시험이나 시합 또는 업무 상담에서의 결정적인 순간에는 어느 정도의 흥분상태가 필요하다. 그래야 의욕이 강해지고 성공할 확률도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좋아하는 사람 앞에 섰을 때 얼굴이 빨개지는 것도 이와 같은 이치이다. 본인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성적인 자극을 받은 뇌가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대 시킨다. 이럴 때에는 지나치게 부끄러워하거나 꽁무니를 빼지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좋다. 노르아드레날린으로 한껏 달아오른 의욕의 기를 이용하여 그(그녀)에게 적극성을 보이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출처 : http://www.inlineworld.net/inline/adrenaline.htm |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많이 마시면 뇌가 줄어든다 (0) | 2007.05.05 |
---|---|
긴장은 어깨서부터 시작된다 (0) | 2007.05.04 |
그때그때 효과 보는 12가지 틈새 마사지 (4) | 2007.05.03 |
우리 몸의 빨간 신호등, 조기발견을 위한 자가 진단법 (0) | 2007.04.30 |
베개에대한 모든것 (0) | 200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