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투자에 대한 편견1: “부동산 투자는 투기다?”

(1) 투자와 투기는 ‘이란성 쌍둥이’다.

흔히 투자는 좋은것이고 투기는 나쁜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그러나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투기와 투자가 결코 서로 상반된 대립적의미를 내포한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주식투자라는 말을 흔히 쓰는데 부동산에 대해서는 투자보다는 투기적 성격이 짙다라는 선입견이 있는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투자와 투기는 ‘이란성 쌍둥이’라고 본다. 투자와 투기를 구분하는 말중에 이런말이 있다.

“A라는 사람이 돈을 벌었는데, 그걸 보고 내가 배가 별로 안아프면 그건 A가 투자를 한거고,

내가 배가 많이 아프면 그건 A가 투기를 한거다”

참 재미있는 말이다. 그러나 투자와 투기는 근본적으로 돈을 벌기위해 행하는 일종의 경제적행위다.

투기라고해서 반드시 불법적인방법을 통해 돈을 벌고 투자는 합법적으로 돈을 버는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물론 투자와 투기가 사전적의미로 해석되는 경우, 투자의 경우 자본을 통해 적당한 기간 운용하여

매각하는과정을 거치는반면, 투기의 경우 운용과정이 극히 짧거나 생략되어 단기적 시세차익만을

노린 것으로 굳이 구분해볼수는 있을것이다.

그러나 부동산투자가 투기라는 선입견은 이제는 버려야 한다. 고가(高價)를 형성하는 주택이나

부동산을 매입하기위해서는 상당한 기간동안 정신적인 고뇌와 발품을 팔고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며,

직접 경제지표를 분석하는 행위까지도 서슴치않는 특성이 있다.

결코 주식투자를 하는사람이 투자를 결정하기위해 노력하는 행위들에 뒤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결국 투자와 투기는 단어의 어감상의 차이만 있을뿐이고 전형적이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며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특정한 행위에 대한 측면을 구분하기위한 것일뿐 근본적으로 자본주의사회에서

투자와 투기는 그 결과를 같은 것으로 추구하는 행위로 모습만 다를뿐 근본 성격은

한 어머니뱃속에서 나온 ‘이란성 쌍둥이’라고도 볼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투자는 무조건 투기’라는 인식은 버려야 한다.


(2) 부동산투자는 투기가 아니라 ‘계층(신분)상승행위’다.

앞서 필자가 편의상 언급한 대한민국의 카스트 5계층에 대한 얘기를 여기서 다시 꺼낼수밖에 없을것같다.

부동산투자를 재테크로 간주한다면 재테크는 일종의 경제적이익을 도모하는 행위이자 쉽게 말하면

‘계층(신분)상승행위’라고도 할수 있다.

필자가 분류하는 신분 5계층에 의하면 빈곤층인 1계층과 서민층인 2계층 그리고 중산층군을 이루고 있는

3계층의 경우 준부유층과 부유층을 이루고 있는 4계층과 5계층처럼 부자와는 일단 거리가 먼 사람들로,

자칫 재테크를 잘못하거나 맞벌이에서 외벌이로 전환되거나 가장에게 불행한 일이 생기면 곧바로

계층(신분)의 하락을 의미하면서 삶의질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심지어 그 상태가 지속되거나 더 악화되는 경우 첫장에서 언급한 빈부차의 심화와 가난의 대물림까지 연결되면서

대한민국에서 여기저기, 이사람, 저사람들에게 치이면서 아주 피곤한 경우로 전락하는경우도 허다하다.

항간에 이런말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살면서 험한꼴 안당할려면 돈이많거나 빽이 있거나 그도 아니면 학벌이라도 있어야 한다.

이 3가지중 돈이 제일 좋고 그다음이 빽이고 마지막이 학벌인데 3가지중 한가지만이라도 있어야

본인이나 자식들이 험한꼴 안보고 살지, 3가지중 한가지라도 없으면 대한민국에서 바보되기 식은죽 먹기다.

3가지가 다있으면 대한민국에서 사는게 천국이 따로없다”

고 말이다. 맞는말인것같고 공감도 간다. 그럼 보통사람들이 빽이나 학벌이 있기가 쉽지않은데,

결국 돈이라도 있어야 할것같은 생각이 든다. 여기서 말하는 돈은 물론 많은 돈을 의미할수도 있을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부자가 아니더라도 자식들에게 충분히 해주고싶은것 해주며 살아갈정도의 돈정도라는 의미도

분명 포함되어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따라서 주식투자든 부동산투자든 다른 재테크든

이 같은 재테크나 부동산투자행위는 투기가 아니라 나와 내 자식새끼들이 험한 꼴 안당하고

대한민국에서 살아가기위한 몸부림이자 ‘계층(신분)상승행위’라고 할수 있는것이다.

TIP: <대한민국의 新 카스트 5계급>이라는 용어는 필자가 대한민국의 빈부차와 양극화가 현재

극에 달하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기위해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1.자산 0원대 이하~1억미만,

월수입 150이하의 빈곤층, 2.자산 1억~3억미만, 월수입 150~500이하의 서민층, 3.자산 3억~10억미만,

월수입 500~1천이하의 중산층, 4.자산 10억~30억이하, 월수입 1천~2천이하의 준 부유층, 5.자산 30억이상,

월수입 2,3천 이상의 부유층(富者)을 일컫는 말로 '계급'이라는 의미보다는 '계층'이라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무난하다.

-(본 칼럼은 5월 출간예정인 필자의 단독집필 도서『2030 재테크, 부동산에 미쳐라!』(가제) 내용중의 일부로 저작권 대상임)-
2008.02.19 (화)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