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과 (과일)木瓜 ]
달고 신맛이 나며 향기가 강하고 육질이 단단하다.
꿀이나 설탕에 재워 먹기도 하며 차로 만들거나 술을 빚기도 한다.
옛날부터 진경(震驚)·거담(去痰)·감기·천식 등에 모과를 달여 먹었다.
중국에서는 모과를 끓여 설탕에 재어 식용하며,
얇게 썰어 말린 것을 지혈제로도 쓴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는 말이 있다.
못생긴 겉 모양에 그 맛까지도 여느 과일과는 달리
떫고 시기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을이 되면시장이나
슈퍼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황금빛의 모과는
울퉁불퉁한 모습이 오히려 더 친근감을 느끼게 한다.
게다가 냄새를 맡아보면 무어라 한 마디로 표현하기 어려운
그윽한 향기가 코끝에 스며든다.
4월경에 꽃이 피어 10월부터 탐스러운 열매를 수확하는 모과는
생과일로는 먹을 수 없지 만 술, 차, 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 할 수 있으며 그 건강효과 또한 뛰어난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제철을 만난 모과의 효능과 이용법을 알아본다.
전체 성분 가운데 약 5% 가량의 당분을 함유하고 있는 모과는
칼슘 칼륨 철분 등의 무기 질까지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모과의 신맛은 사과산을 비롯한 유기산 때문인데
이들 은 신진 대사를 도와주며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과당인 모과의 프록토스 성분은 간장과 신장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 주며
술 때문에 생긴 주독을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
떫은 맛을 내는 것은 탄닌성분으로 피부를 오그라들게 하는 작용이 있어
설사를 멎게 한다.
부작용
다양한 약효성분을 가지고 있는 모과지만 소변량이 적거나
자주 붉은 색의 소변을 보는 사람은 모과를 삼가는 것이 좋다.
모과에는 항이뇨작용이 있어 소변을 더욱 농축시키기 때문에
농뇨를 더욱 악화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변비증세가 있는 사람에게도 모과는 좋지 않다.
설사를 멎게 하는 성분이 변을 굳게해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효능
기침, 천식 예방에 항암효과
<본초강목>은 모과를 ‘주독을 풀고 가래를 제거해주며 속이 울렁거릴 때 먹으면 속이 가라앉고,
구워 먹으면 설사에 잘 듣고, 기름을 적셔 머리를 빗으면
백발을 고쳐준다’고 소개하고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모과는 구토와 설사 뒤 다리에 쥐가 날 때도
효과가 있다.
구토 와 설사 때문에 염화물이 지나치게 배출되고
알칼리가 축적되어 저칼슘혈증을 일으키면 장 딴지 근육에
경련이 올 수 있는데 이때 모과를 먹으면 좋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동의보감>은 모과가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해주고
무릎과 다리에 힘이 없는 증상을 치료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열매는 물론이고 가지나 잎을 달인 물로 다리와 발을 씻으면
다리에 힘이 생긴다는 것.
손이나 발이 부을 때는 모과를 썰어 넣고 물과 술을 반반 씩 부어
삶은 뒤 물은 마시고 찌꺼기는 부은 자리에 발라주면
부기가 가라앉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고 한다.
빈혈성 근육경련이나 만성 류머티즘, 관절통에도 모과는 효능을 발휘한다.
모과에 두충이 나 미타리풀 우슬초 등을 섞어 차를 끓여
마시면 더욱 빠른 효과를 볼 수 있다.
손발의 뼈나 근육이 삐어서 통증을 느낄 때는
모과를 썰어 같은 양의 술에 넣어 삶은 다음 곱게 찧어서
따뜻할 때에 환부에 붙여주고 식으면 교체해주는 것을
하루 3회 정도씩 하면 뛰어난 효과를 볼 수 있다.
허리를 삐었을 때에도 같은 방법으로 치료 해주면 금방 통증이 가라앉는다.
모과의 또 한가지 중요한 효능은 천연의 천식 예방치료제라는 것이다.
천식이 발병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한방에서는 체내 수분의 불균형을 커다란 이유로 꼽고 있다.
그런데 모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칼륨에는
체내에 불필요한 수분을 땀이나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천식의 개선에 큰 효과를 나타낸다.
또 모과는 우리의 몸을 내부에서부터 따뜻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몸의 찬 기운을 없애주며 폐를 보하고
코를 부드럽게 해 주기 때문에 쉽게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도와주며 기관지염과 폐렴에도 좋다.
모과속에 들어있는 탄닌에는 수렴작용이 있어서
목의 염증을 가라앉게 해주며, 사포닌 성분은 기침을 억제하는 데
놀랄만큼 빠르고도 강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서
특히 기침감기의 예방과 치료에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모과가 천식에 발군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이 탄닌과 사포닌의
역할이 크다.
그러나 모과는 마치 나무가지처럼 딱딱하며 신맛과 떫은 맛이
강하기 때문에 그대로는 먹을 수 없다.
또한 생모과에는 우리몸에 해로운 돌세포가 많으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모 과의 모든 효능을 충분히 살리면서 손쉽게 모과를 섭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흔히 쓰이는 것 이 모과주와 모과차이다.
모과주는 모과의 향기와 약효가 가장 뛰어난 시기인
10월 말에서 11월 초순경에 담그는 것이 가장 좋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모과는 모두 품질이 좋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충청 남도의 모과가 가장 상품으로 꼽힌다.
모과를 만지면 손바닥 가득 끈끈한 점액같은 것이 묻어나오는데
이 점액이 많이 묻어나 는 것일수록,
그리고 벌레가 많이 먹은 것일수록 약효가 뛰어나다.
출처:웹
또 코가 부었다.
조금 남아 있는 모과를 끓여 한잔 따스하게 마시고..
아...컨디션 꽝..감기인가 보다....ㅠ.ㅠ